**고위험 임신(High-risk pregnancy)**은 산모나 태아에게 합병증 위험이 높은 경우를 말하며, 일반 임신보다 훨씬 더 세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고위험 임신에 해당하는 경우
- 산모 관련
- 고혈압,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 고령 임신(만 35세 이상)
- 다태임신(쌍둥이 이상)
- 과거 조산, 유산, 제왕절개 등 분만 이력이 있는 경우
- 자궁경부 무력증, 자궁기형 등 구조적 문제
- 임신 중 발생하는 문제
- 임신성 고혈압(자간전증 포함)
- 임신성 당뇨병
- 전치태반, 태반 조기박리
- 양수 과다증·과소증
- 태아 성장 지연, 태아 기형 의심
🔎 고위험 임신 관리 방법
- 더 자주 산전 진찰
- 일반 임신보다 짧은 간격(매주 또는 2주마다)으로 진료
- 초음파·혈액검사·소변검사 등 추가 시행
- 모니터링 강화
- NST(태아심박동 검사) 자주 시행
- 태아 성장곡선 추적
- 산모 혈압, 혈당, 체중 관리 철저
- 약물/치료적 관리
- 혈압 조절 약물, 인슐린 치료 등 필요 시 사용
- 조기수축 억제제, 자궁경부 길이 모니터링
- 생활 관리
- 충분한 휴식, 스트레스 최소화
- 체중 조절, 식단 관리 (특히 당뇨·고혈압 산모)
- 고위험군일 경우 입원 관리 권장
- 분만 계획
- 조산 위험이 높으면 조기 입원 후 관찰
- 제왕절개 여부 사전 계획
- 신생아 집중치료실(NICU) 있는 병원에서 출산 권장
'산부인과 진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 불순, 생리통,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0) | 2025.09.04 |
---|---|
임신 확인 및 산전 진찰 (0) | 2025.09.04 |
임신 주차별 산전 검진 스케줄 (0) | 2025.09.04 |
연령대별 산부인과 검진법 (0) | 2020.03.01 |
주의해야 할 여성질환 3가지 및 위험 신호는? (0) | 2020.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