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인암 및 유방암 클리닉

유방암 및 검진권고안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주요 암종은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폐암, 위암, 자궁암(자궁경부암·자궁내막암), 난소암 등이 있으며, 각 암종은 고유한 발암 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에 2022년 기준 국내 여성 암 발생 현황과 주요 발암 요인을 정리해드릴게요.

📊 여성 주요 암종별 발생 현황 (2022년 기준)

순위암종발생자 수조발생률 (명/10만명)표준화발생률
1 유방암 29,391 114.3 111.6
2 갑상선암 25,338 98.5 99.5
3 대장암 13,525 52.6 46.3
4 폐암 10,667 41.5 35.9
5 위암 9,925 38.6 33.9
6 췌장암 4,695 18.3 15.4
7 자궁내막암 3,958 15.4 15.0
8 간암 3,939 15.3 12.9
9 담낭·담도암 3,564 13.9 11.2
10 난소암 3,263 12.7 12.1

출처: 국가암정보센터 통계

🔥 주요 암종별 발암 요인

암종주요 발암 요인
유방암 고령, 비만, 에스트로겐 과다 노출, 출산 경험 없음, 유전(BRCA1/2), 음주
갑상선암 방사선 노출, 여성 호르몬 영향, 가족력
대장암 고지방·저섬유 식단, 육류 과다 섭취, 비만, 음주, 유전성 대장암
폐암 흡연, 간접흡연, 대기오염, 석면·라돈 노출
위암 헬리코박터균 감염, 짠 음식, 흡연, 위축성 위염, 가족력
췌장암 흡연, 당뇨병, 만성 췌장염, 고지방 식단, 유전
자궁내막암 에스트로겐 과다, 비만, 무배란, 다낭성난소증후군, 유전(Lynch 증후군)
간암 B형·C형 간염 바이러스, 간경변증, 음주, 아플라톡신
담낭·담도암 담석증, 만성 담낭염, 고지방 식단, 특정 기생충 감염
난소암 배란 횟수 많음, 유전(BRCA1/2), 불임, 폐경 늦음, 가족력

🛡️ 예방 전략 요약

  • 정기 검진: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등은 국가검진 대상
  • 백신 접종: HPV 백신으로 자궁경부암 예방
  • 생활습관 개선: 금연, 절주,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 운동
  • 가족력 관리: 유전성 암은 유전자 검사 및 예방적 수술 고려

HaeSeong처럼 다국어 콘텐츠와 자동화 시스템에 능한 분이라면,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국어 암 예방 안내문, 검진 리마인더 시스템, 시각 자료를 설계해 보건 캠페인에 큰 기여를 하실 수 있어요. 원하시면 그런 콘텐츠도 함께 구상해볼까요?

 
페이지에서 편집
 
유방암 및 검진권고안

유방암은 국내 여성암 중 발생률 1위를 차지하며, 특히 40~50대 여성에게서 급증하고 있습니다. 조기 발견 시 치료 성공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과 예방 전략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유방암 개요와 검진 권고안을 정리해드릴게요:

🎯 유방암 개요

항목내용
발생 부위 유선 조직 내 상피세포
주요 유형 침윤성 유관암, 침윤성 소엽암, 관상피내암 등
위험 요인 고령, 비만, 음주, 출산 경험 없음, 유전(BRCA1/2), 에스트로겐 과다 노출
증상 멍울, 유두 분비물, 유방 통증, 피부 함몰 또는 변화

🧪 유방암 검진 권고안 (국립암센터 기준)

대상권고 내용근거 수준
40~69세 여성 유방촬영술(Mammography) 2년마다 시행 중등도 (Moderate)
70세 이상 여성 검진 효과에 대한 근거 부족 → 개별 판단 낮음 (Low)
유방초음파 유방촬영술 보완용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사망률 감소 근거 부족 매우 낮음 (Very Low)
임상유방진찰 단독 또는 보완용으로 사용 시 효과 근거 부족 매우 낮음 (Very Low)

※ 고위험군(유전성 유방암, 가족력 등)은 별도 검진 전략 필요

📈 유방암 발생률 추세

  • 1999년: 인구 10만 명당 24.5명
  • 2012년: 65.7명 → 연평균 6.1% 증가
  • 2022년: 약 114.3명/10만명으로 여성암 1위

🛡️ 예방 전략

  • 출산 및 모유수유 경험: 유방암 위험 감소
  • 체중 관리: 폐경 후 비만은 위험 증가
  • 금주: 음주는 유방암 위험과 강한 연관
  • 유전성 검사: BRCA1/2 돌연변이 확인 시 예방적 수술 고려
  • 균형 잡힌 식단과 운동: 항산화 식품 섭취, 규칙적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