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Human Papillomavirus) 감염증은 흔히 자궁경부암, 생식기 사마귀, 항문·구강암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증이에요.
현재는 예방접종과 생활습관 관리로 상당 부분 예방이 가능합니다.
✅ HPV 감염증 예방 방법
1. 예방접종(가장 효과적)
- 대상 백신: HPV 백신(가다실, 서바릭스, 가다실9)
- 접종 대상
- 만 9세~26세 여성, 만 9세~17세 남성 (WHO 권장)
- 한국: 만 12세 여성 청소년은 국가 무료접종(NIP) 지원 →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
- 성인도 접종 가능하지만, 성 경험이 시작되기 전 접종 시 효과가 가장 큼
- 효과
- HPV 감염으로 인한 자궁경부암의 약 70~90% 예방
- 일부 항문암, 구강암, 생식기 사마귀도 예방
2. 안전한 성생활
- HPV는 주로 성접촉으로 전파 → 콘돔 사용이 감염 위험을 줄여줌
- 다만 100% 차단은 불가능 (피부 접촉으로도 감염 가능)
3. 정기 검진
- 여성: 자궁경부세포검사(Pap smear) 또는 HPV DNA 검사 정기적으로 시행
- 조기 발견 시 치료 가능 → 암 예방 효과
4. 면역력 관리
- HPV 감염 후 대부분은 자연 소실되지만, 면역력이 약하면 지속 감염 → 암으로 진행
-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사, 스트레스 관리, 금연·절주가 중요
📌 핵심 정리
- 가장 중요한 예방 수단은 백신 접종
- 이후에도 정기 검진과 생활습관 관리가 필수
- 남녀 모두 감염 가능 → 여성뿐 아니라 남성도 예방 필요
✅ HPV 백신 종류별 차이
종류상품명예방 가능한 HPV 유형주요 예방 질환비고
2가 백신 | 서바릭스 (Cervarix) | 16, 18형 | 자궁경부암 | 남성 접종 불가 |
4가 백신 | 가다실 (Gardasil) | 6, 11, 16, 18형 | 자궁경부암 + 생식기 사마귀 | 여성·남성 모두 접종 가능 |
9가 백신 | 가다실9 (Gardasil9) | 6, 11, 16, 18, 31, 33, 45, 52, 58형 | 자궁경부암 + 외음부암 + 항문암 + 생식기 사마귀 등 | 현재 가장 넓은 범위 예방 |
📌 접종 횟수 및 일정
- 접종 시작 나이에 따라 다름
- 만 9세~14세 시작 시
- 2회 접종 (0개월, 6개월 간격)
- 만 15세 이상 시작 시
- 3회 접종 (0개월, 2개월, 6개월 간격)
- 권장 연령
- WHO: 만 9~14세
- 한국: 만 12세 여성 청소년 (국가 무료지원)
💰 접종 비용 (한국 기준, 2024년 기준 평균가)
- 2가(서바릭스): 1회 약 10만~13만 원
- 4가(가다실): 1회 약 15만 원 내외
- 9가(가다실9): 1회 약 18만~22만 원
- → 3회 접종 시 최대 50만 원 이상 소요 가능
🏥 무료 지원 대상 (국가예방접종, NIP)
- 만 12세 여성 청소년 (2009년생 이후부터 해당)
- 지원 기간: 만 12세 되는 해 1월 1일 ~ 만 13세 되는 해 12월 31일
- 2가 또는 4가 백신 중 선택 가능 (9가는 현재 무료지원 제외)
- 지원 내용: 접종 비용 전액 무료 (보건소·위탁 의료기관)
📞 확인 방법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nip.kdca.go.kr) → 위탁 의료기관 검색
-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건강검진 및 예방접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 (0) | 2025.04.16 |
---|---|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0) | 2025.01.05 |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0) | 2025.01.05 |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지정의료기관 (0) | 2025.01.05 |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지정의료기관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