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암은 자궁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자궁내막(점막층)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여성 생식기암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암 중 하나입니다. 과거에는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 주로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20~30대 젊은 여성 환자도 급증하고 있어요.
🧬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인
요인설명
에스트로겐 과다 노출 | 무배란 월경, 늦은 폐경, 초경 빠름 등 |
비만 (특히 복부비만) | 내장지방이 호르몬 대사 교란 유발 → 위험 6.2배 증가 |
출산 경험 없음 | 프로게스테론 노출 부족 → 암 발생 위험 증가 |
당뇨병, 다낭성 난소증후군 | 대사 이상과 호르몬 불균형 |
타목시펜 복용 | 유방암 치료제 → 장기 복용 시 위험 증가 |
유전적 요인 | Lynch 증후군 등 유전성 암 증후군 |
🚨 주요 증상
- 생리와 무관한 비정상적인 질 출혈
- 폐경 후 출혈
- 하복부 통증, 골반 압박감
- 질 분비물 증가 (악취, 색 변화)
- 체중 감소, 피로감
※ 증상이 미미하거나 일시적일 경우 방치되기 쉬워요. 반복되면 반드시 정밀검사 필요3
🧪 진단 방법
- 질 초음파: 자궁내막 두께 확인
- 자궁내막 조직검사: 흡인 생검 또는 자궁경 검사
- MRI/CT/PET: 병기 결정 및 전이 여부 확인
💊 치료 방법
병기치료 방식
1기 | 자궁·난소·난관 절제술 (전자궁적출술), 필요 시 림프절 절제 |
2~4기 | 수술 + 방사선 치료 + 항암화학요법 병행 |
재발성/진행성 | 면역치료, 표적치료, 로봇수술 등 최신 치료 병행 |
※ 조기 발견 시 5년 생존율은 약 90%, 4기 진단 시 20% 이하로 급감5
🛡️ 예방법 및 관리
- 정기 검진: 초음파 + 조직검사 (특히 비정상 출혈 시)
- 체중 관리: 복부비만은 가장 강력한 위험 요인
- 균형 잡힌 식습관: 고칼로리 식단 피하고 과일·채소 섭취
- 호르몬제 복용 시 상담 필수
- 출산 경험: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 줄여 위험 감소
자궁내막암은 자궁경부암과 달리 국가검진에 포함되지 않아 조기 발견이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부인암 및 유방암 클리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육종 (0) | 2020.04.06 |
---|---|
외음부암 (0) | 2020.04.06 |
난소생식세포종양이란 (0) | 2020.04.06 |
여성 주요암종별 발생현황과 발암요인 (0) | 2020.04.06 |
유방암 및 검진권고안 (0) | 2020.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