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인암 및 유방암 클리닉

(21)
자궁내막암 자궁내막암은 자궁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자궁내막(점막층)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여성 생식기암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암 중 하나입니다. 과거에는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 주로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20~30대 젊은 여성 환자도 급증하고 있어요.🧬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인요인설명에스트로겐 과다 노출무배란 월경, 늦은 폐경, 초경 빠름 등비만 (특히 복부비만)내장지방이 호르몬 대사 교란 유발 → 위험 6.2배 증가출산 경험 없음프로게스테론 노출 부족 → 암 발생 위험 증가당뇨병, 다낭성 난소증후군대사 이상과 호르몬 불균형타목시펜 복용유방암 치료제 → 장기 복용 시 위험 증가유전적 요인Lynch 증후군 등 유전성 암 증후군🚨 주요 증상생리와 무관한 비정상적인 질 출혈폐경 후 출혈하복부 통증, 골반 ..
난소생식세포종양이란 난소생식세포종양(Ovarian Germ Cell Tumor)은 난소에서 난자를 만드는 원시 생식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전체 난소암 중 약 2~3%를 차지하는 희귀한 유형의 난소암입니다. 대부분은 청소년기부터 30대 초반 여성에게 발생하며, 악성이라도 치료 반응이 좋은 편입니다.🧬 난소생식세포종양의 종류유형설명미분화배세포종 (Dysgerminoma)가장 흔한 악성 생식세포종양. 고환의 정상피종과 유사. 항암치료 반응 좋음기형종 (Teratoma)성숙기형종은 양성, 미성숙기형종은 악성. 조직 내 털·지방·연골 등 포함 가능난황낭종양 (Yolk Sac Tumor)빠르게 성장하며, AFP(알파태아단백) 수치 상승융모막암종 (Choriocarcinoma)가장 드문 유형. hCG 수치 상승. 임신 관련 조직..
여성 주요암종별 발생현황과 발암요인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주요 암종은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폐암, 위암, 자궁암(자궁경부암·자궁내막암), 난소암 등이 있으며, 각 암종은 고유한 발암 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에 2022년 기준 국내 여성 암 발생 현황과 주요 발암 요인을 정리해드릴게요.📊 여성 주요 암종별 발생 현황 (2022년 기준)순위암종발생자 수조발생률 (명/10만명)표준화발생률1유방암29,391114.3111.62갑상선암25,33898.599.53대장암13,52552.646.34폐암10,66741.535.95위암9,92538.633.96췌장암4,69518.315.47자궁내막암3,95815.415.08간암3,93915.312.99담낭·담도암3,56413.911.210난소암3,26312.712.1출처: 국가암정보센터 통계..
유방암 및 검진권고안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주요 암종은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폐암, 위암, 자궁암(자궁경부암·자궁내막암), 난소암 등이 있으며, 각 암종은 고유한 발암 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에 2022년 기준 국내 여성 암 발생 현황과 주요 발암 요인을 정리해드릴게요.📊 여성 주요 암종별 발생 현황 (2022년 기준)순위암종발생자 수조발생률 (명/10만명)표준화발생률1유방암29,391114.3111.62갑상선암25,33898.599.53대장암13,52552.646.34폐암10,66741.535.95위암9,92538.633.96췌장암4,69518.315.47자궁내막암3,95815.415.08간암3,93915.312.99담낭·담도암3,56413.911.210난소암3,26312.712.1출처: 국가암정보센터 통계..
갑상선암 및 검진 권고안 갑상선암은 국내 여성암 중 발생률 2위를 차지하며, 특히 20~40대 여성에게서 많이 발견됩니다. 대부분은 유두암으로 예후가 매우 좋지만, 과잉 진단과 불필요한 치료에 대한 우려도 있어 검진 권고안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갑상선암 개요항목내용주요 유형유두암(95%), 여포암, 수질암, 미분화암 등위험 요인방사선 노출(특히 소아기), 가족력, 여성호르몬 영향, 비만증상목의 멍울, 목소리 변화, 삼킴 곤란, 호흡 곤란 (진행 시)예후유두암의 10년 생존율 99% 이상, 미분화암은 예후 불량📋 갑상선암 검진 권고안 요약 (국립암센터, 2015)대상권고 내용권고 등급무증상 일반 성인초음파를 통한 선별검진은 권고하지 않음권고등급 I고위험군 (가족력, 방사선 노출 등)선별검진에 대한 근거 부족매우 낮음검..